최근 몇 달 간 국시모통신을 통해 설악산오색케이블카 소식을 지속적으로 전달해 드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연속으로 소식을 전하는 것은 점차 시작하는 날이 가까워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6월 초, 양양군은 시공사와 계약을 진행했고, 불과 며칠 전이었던 6월 24일부터 언제라도 공사를 시작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작년 11월 20일 시공사 없는 깡통 착공식으로부터 실제 착공이 가능한 오늘까지 7개월 이상 소요되었습니다.

지난 국시모통신🔗에서 전해드렸듯이, 양양주민들은 오색케이블카 사업에 대한 주민감사청구를 진행했습니다.
4월 11일부터 6월 25일까지 2달간 청구인 모집을 진행한 결과, 223명의 양양주민이 주민감사청구인단에 참여 서명하였습니다. 서명한 청구인 명부는 6월 25일 기자회견 후 강원특별자치도 감사위원회에 제출하였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말했습니다. 양양군에서 청구인 150명 모으기는 서울에서 150만 명 모으기와 비슷하다고요.
서명을 받기 위해 양양군 곳곳을 다닌 13명의 양양주민들은 150명을 넘어 223명, 그리고 그 이상의 주민들을 만나며 청구인 서명을 받았습니다. 이는 양양주민들이 일궈낸 엄청난 성과입니다.
오색케이블카 사업에 대한 인식이, 추진에 대한 의문이 하나 둘 씩 해결되며 거리에서 만난 양양군민들은 "오색케이블카를 왜 하지? 강원도와 양양군에 속았다"고 이야기하기 시작했습니다. 양양군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앞으로 주민감사청구는 청구인 명부 열람과 감사위원회의 청구 수리, 그리고 감사가 순차적으로 진행됩니다.
주민들은 공정한 감사를 촉구하는 행동과 감사가 추진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주민소송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오색케이블카 공사가 시작되어도, 양양주민과 설악산을 지키는 시민들은 공사를 멈추는 활동을 끝까지 이어갈 것입니다.


▲ 설악산국립공원 개발 압력에도 굴하지 않고 끝까지 막아내는 양양주민들
최근 몇 달 간 국시모통신을 통해 설악산오색케이블카 소식을 지속적으로 전달해 드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연속으로 소식을 전하는 것은 점차 시작하는 날이 가까워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6월 초, 양양군은 시공사와 계약을 진행했고, 불과 며칠 전이었던 6월 24일부터 언제라도 공사를 시작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작년 11월 20일 시공사 없는 깡통 착공식으로부터 실제 착공이 가능한 오늘까지 7개월 이상 소요되었습니다.
지난 국시모통신🔗에서 전해드렸듯이, 양양주민들은 오색케이블카 사업에 대한 주민감사청구를 진행했습니다.
4월 11일부터 6월 25일까지 2달간 청구인 모집을 진행한 결과, 223명의 양양주민이 주민감사청구인단에 참여 서명하였습니다. 서명한 청구인 명부는 6월 25일 기자회견 후 강원특별자치도 감사위원회에 제출하였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말했습니다. 양양군에서 청구인 150명 모으기는 서울에서 150만 명 모으기와 비슷하다고요.
서명을 받기 위해 양양군 곳곳을 다닌 13명의 양양주민들은 150명을 넘어 223명, 그리고 그 이상의 주민들을 만나며 청구인 서명을 받았습니다. 이는 양양주민들이 일궈낸 엄청난 성과입니다.
오색케이블카 사업에 대한 인식이, 추진에 대한 의문이 하나 둘 씩 해결되며 거리에서 만난 양양군민들은 "오색케이블카를 왜 하지? 강원도와 양양군에 속았다"고 이야기하기 시작했습니다. 양양군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앞으로 주민감사청구는 청구인 명부 열람과 감사위원회의 청구 수리, 그리고 감사가 순차적으로 진행됩니다.
주민들은 공정한 감사를 촉구하는 행동과 감사가 추진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주민소송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오색케이블카 공사가 시작되어도, 양양주민과 설악산을 지키는 시민들은 공사를 멈추는 활동을 끝까지 이어갈 것입니다.
▲ 설악산국립공원 개발 압력에도 굴하지 않고 끝까지 막아내는 양양주민들